HY-IEET 조직/구성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
-
좌용호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 원장 -
김영득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 부원장 -
김동옥
한양환경에너지기술연구원 행정팀 -
유봉영
차세대반도체패키징센터장 -
이방욱
퓨전전기에너지센터장 -
김영득
첨단열시스템센터장 -
안용한
탄소중립에너지인프라센터장 -
김태현
지속가능에너지기술센터장 -
성기훈
환경바이오센서센터장 -
김성민
KOLAS 인증 담당 수석연구위원
차세대반도체패키징센터
-
유봉영 교수 연구팀
-
좌용호 교수 연구팀
-
김종렬 교수 연구팀
-
박진구 교수 연구팀
-
박태주 교수 연구팀
-
안지훈 교수 연구팀
-
김우희 교수 연구팀
-
조홍백 교수 연구팀
-
윤상화 교수 연구팀
-
김동하 교수 연구팀
-
윤창모 교수 연구팀
-
김유정 박사 연구
-
문형진 박사 연구
-
임민섭 박사 연구
유봉영 교수 연구팀

유봉영
- 반도체 3차원 배선을 위한 TSV filling 및 Cu-Cu bonding 공정 개발
- 습도 센서 및 NO2 센서 개발
- 고속 금속 적층을 위한 3D printing 기술 개발
-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87편
- 삼성전자㈜,, 일진 Materials, Andy Casting, YMT 기업체 한국전기연구원, 재료연구소 공동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26억 8천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7억7천
- SCI 논문: 13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25건/9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5건/1건
유봉영 교수 연구팀
3D die stacking을 위한 도금 연구
- TSV filling을 위한 금속 도금 및 메커니즘 연구
- Cu-Cu bonding을 위한 구리 박막 물성 연구
전력 반도체 소자를 위한 3D printing 기술 연구
- 도금 인자 조절 및 전극 설계를 통한 품질 개선 연구
-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한 3D printing 메커니즘 연구
3D die stacking을 위한 도금 연구

전력 반도체 소자를 위한 3D printing 기술

좌용호 교수 연구팀

좌용호
- 나노복합화를 통한 반도체 페키징용 열계면소재 제조 및 평가
- 열화학센서 및 마이크로히터설계 및 제조 Nano today,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157편
- 현대자동차㈜ , LG전자㈜, 삼성전자㈜, 썬텍㈜ 등 기업체 수탁과제 수행
- 기술이전실적 7억2천만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28억 9천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2억6천5백
- SCI 논문: 5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31건/16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35건/5건
좌용호 교수 연구팀
반도체 페키징용 열계면 소재 개발 및 연구
- 고방열 전자부품용 열계면소재 합성
- 반도체 Chip과 Heat Sink간의 방열제어 및 반도체 인터포저 방열소재개발
차세대 카메라 모듈용 마이크로 히터 및 반도체 센서 개발
- 마이크로 히터 제조 설계 및 평가기술
- 5G/6G 차세대 통신용 인터포저 소재 개발
차세대 카메라 모듈용 마이크로 히터 및 반도체 센서 개발

반도체 열계면소재 개발 및 연구

김종렬 교수 연구팀

김종렬
- TEM을 활용한 미세구조 분석 전문가
- 결정체 내의 격자 결함 및 계면 특성화 연구
- 나노원천 / 소재원천/ 미래소재사업 등의 다수의 국가 과제 수행
- ㈜현대자동차, ㈜포스코, ㈜LG전자, ㈜아모텍 등의 다수의 산업체 과제 수행
- 3D 프린팅 인력양성사업 단장 역임
- BK21+ 및 BK21 FOUR 사업 단장 역임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30.3억원
- 민간과제 수주실적: 4.5억원
- 논문 : 2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34건 / 3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2건
김종렬 교수 연구팀
토크-앵글센서용 소재 개발
- 멀티트랙 엔코더용 자계해석
- 단자구 분말 제조
- 자계 해석
스핀전자밀도 제어를 통한 박막형 자성소재 개발
- 일차원 구조 자성체 원천 제조기술
- On-chip 형 인덕터 제조 기술
밀리미터파 대역 고주파 흡수소재 개발 (EM Absorber)
- 전자파 흡수 원천소재 합성기술
- FMR 주파수 제어를 위한 자성 소재의 조성 및 형상 제어기술
EM Absorber

자동차 조향 토크-앵글센서용 소재 개발

스핀전자밀도 제어를 통한 고성능 모터용 자성소재 개발

박진구 교수 연구팀

박진구
- CMP, post-CMP 세정 및 wet process 전문가
- 나노 오염입자 제어 기술
- Texas Instrument, Technical staff 근무 (1992-1994)
- Ultrasonics Sonochemistry, Applied Surface Science, 등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 Surface Preparation & Cleaning Conference (SPCC) 조직위원 (2009~현재)
- International CMPUGM 회장 (2012~현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6개,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9개, 10억+
- 논문: 29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3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2건/1건
박진구 교수 연구팀
나노 오염입자 제어 연구
- DLVO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나노 오염입자의 부착 메커니즘 및 부착력 연구
- 전기화학적 formulation을 통한 오염입자의 부착력 제어 및 오염 제거
- 나노 오염입자의 효과적 제거를 위한 laser shock wave cleaning 등 세정기술 개발
CMP 공정개발 및 슬러리 Formulation 연구
- CMP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CMP 공정 최적화 연구
- Additive 및 pH 제어 등을 통한 물질 별 CMP 화학액 formulation 연구
○ Post-CMP 세정공정 연구 및 개발
- 메가소닉을 활용한 CMP 후 세정공정 공정기술 개발
- PVA 브러쉬를 응용한 CMP 후 세정공정 기술개발 및 최적화 연구
나노 오염입자 제어 연구

CMP 공정개발 및 슬러리 Formulation 연구

Post-CMP 세정공정 연구 및 개발

박태주 교수 연구팀

박태주
- ALD 및 소자 집적 공정 전문가
- 반도체/산화물 계면 결함분석 기술
- Merck社 스페셜 어워드 (2022)
- 한양대학교 학술상/대외협력부문 (2021)
- 한국표면공학회 신진표면공학자상 (2018)
- 대한 금속재료학회 신진학술상 (2017)
- 한양대학교 학술상/피인용부문 (2017)
- 한양대학교 학술상/신진연구자상 (2015)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7개, 약 17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7개, 약 16억+
- 논문: 36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23건/3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6건/1건
박태주 교수 연구팀
차세대 전력 패키징용 Advanced ALD 공정 연구
- 패키징용 절연 박막
- 패키징용 금속 배선
Post-CMOS 전자소자 및 image sensor 연구
- 2차원 전자소자
- Image sensor 구동 소자
차세대 배터리 연구
-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 차세대 마이크로 배터리
차세대 패키징, Post-CMOS 전자소자, 배터리 소자 및 공정 연구

안지훈 교수 연구팀

안지훈
- ALD 및 소자 집적 공정 전문가
- 저차원 반도체/MIM 계면 처리 기술
- SK 하이닉스 연구소 근무 (2009-2012)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근무 (2012-2014)
- Adv. Mater., Nano Lett., Nat. Commum. 등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7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4개, 약 6억+
- 논문: 2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3건/3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1건
안지훈 교수 연구팀
고성능 채널 신소재 합성 및 소자화 연구
- 2차원 반도체 신소재 합성법 개발 및 메커니즘 연구
- ALD 기반 대면적, 고품위 합성 기술 및 양산화 연구
- 전자소자, 광전자소자, Power 소자, 센서소자 응용 연구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핵심 소재 연구
- 초고유전 유전박막 설계 및 전하 저장 소자 응용 연구
- 초격자 기반 강유전/반강유전 박막 설계 및 메모리 소자화 연구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핵심 소재 연구

고성능 채널 신조재 합성 및 소자화 연구

김우희 교수 연구팀

김우희
- ALD 및 반도체 소자 집적 공정 전문가
- 산화물/금속 선택적 증착/식각 패터닝 기술
-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근무 (2011-2014)
- Micron Technology 연구소 근무 (2016-2017)
- ACS Nano, Adv. Funct. Mater., Chem.
Mater. 등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 한양대학교 IC-PBL 최우수상 (2021년 2회 수상)
- 한양대학교 강의 우수교원 선정 (2020, 2022년 2회 수상)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1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0개, 약 10억+
- 논문: 23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3건/5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2건/1건
김우희 교수 연구팀
차세대 mobility 용 반도체 패터닝 공정 연구
- 차세대 금속/유전체 용 첨단 원자층 증착법
- 영역 선택적 원자층 증착법/원자층식각법 공정 및 반응 메커니즘 연구
- EUV 무기 레지스트 기반 건식 기상증착 공정 및 반응 메커니즘 연구
차세대 로직/메모리 반도체 소재 및 소자화 연구
- 금속게이트 소재의 원자층 증착 공정 및 Multi-CMOS 소자 응용
- 고유전율/강유전 박막 소재 및 Memory 소자 용응
차세대 나노소재 합성 및 소자화 연구
- 이차원 나노소재 합성 및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작
- 하이브리드 나노 소재 기반 차세대 센서 및 에너지 소자 응용
차세대 Mobility용 반도체 패터닝 공정 연구

차세대 나노소재 합성 및 소자화 연구

차세대 로직/메모리 반도체 소재 및 소자화 연구

조홍백 교수 연구팀

조홍백
- 고분자 기반 3-D 절연성 고열전도회로 제조 연구
- 산화물 반도체 나노 구조체 기반 가스 센싱 시스템 연구
- Nagaoka Univ. Technol. 특임부교수 (2012-2015)
- J. Hazard. Mater., Nanoscale, ACS Appl. Mater. Interfaces, Compos. Sci. Technol. 등.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 한양대학교 IC-PBL 최우수상/우수상 (2021/2022)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2.5억
- 논문: 21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4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0건/2건
조홍백 교수 연구팀
고분자기반 차세대 3-D 절연성 방열회로연구
- Nano-pulse, 전기장, 자기장 기반 선택적 필러 배향 배열 기술
- 질화붕소 나노 구조체기반 등방성 고방열/경량성/저가 열계면소재
- 고방열필러-고분자간 및 필러-필러간 유/무기 바인딩 및 분산기술
- 반도체 패키지 방열 향상을 위한 절연 TIM 소재 기술
- 반도체 플립칩 패키지용 언더필 소재 기술
차세대 자동차 파워모듈용 유연성 세라믹 서브스트레이트 연구
- 유연성 마이크로 두께(≤150 세라믹 서브스레이트 연구
- 내열충격성(5000 cycle), 내열저항 (3 K/W), 고방열성 (40 W/mk)
산화물 반도체 나노 구조체 기반 가스 센싱 시스템 연구
- Ex-Graphene/ZnO QD-나노구조체 기반 상온구동 메탄올 가스센서
- 다공성 1-D SnO2-CuO 구조체 기반 H2S 가스센싱 시스템
산화물 반도체 나노 구조체 기반 가스 센싱 시스템 연구

고분자기반 차세대 3-D 절연성 방열회로연구

차세대 자동차 파워모듈용 유연성 세라믹 서브스트레이트 연구

윤상화 교수 연구팀

윤상화
- 반도체 Copper 도금 및 패키징 분야 연구
- 수소 센서 및 물 분해 기술 개발
- 금속 적층 3D Printing 기술 개발
- 첨단패키징분야 기업 및 정부과제 다수 수행
- 롯데머티리얼즈 기술연구소 과장 (2017-2020)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5억+
- SCI 논문: 7 편
- 국내특허 출원 : 5 건
윤상화 교수 연구팀
High-end 반도체 패키징 3D Interconnect 도금 연구
- TGV(Though Glass Via) Filling에 대한 도금 공정
- Cu to Cu direct bonding 저온 접합 기술
- 전해 연마 기술 개발 및 매커니즘 연구
차세대 전력 반도체 소자를 위한 3D printing 기술 연구
- 도금 인자 조절 및 전극 설계를 통한 품질 개선 연구
-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한 3D printing 메커니즘 연구
전력 반도체 소자를 위한 3D printing 기술

반도체 패키징 3D Interconnect 도금 연구

이승원 박사 연구 내용

이승원
- 한양대학교 박사 (2020-2024)
- DRAM capacitor용 high-k 소재 및 ALD 공정 기술 개발 연구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다양한 기관과 과제 수행
- ㈜TES 파견 연구원 (20-2008)
- 2023년 한국반도체 연구 조합 - 우수 연구원 선정
- 한국 재료 학회 – 우수논문상 수상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다양한 산학 과제 수행
- SCI 논문: 14 편
- 국내특허 출원 : 2 건
이승원 박사 연구 내용
차세대 DRAM capacitor용 high-k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 ALD를 이용하여 Al2O3, Nb2O5, ZrO2, HfO2, SnO2, TiO2, SrO 및 이들 조합을 통한 이성분계 이상의 박막 증착 공정 기술 개발 및 평가
DRAM capacitor용 mixed-, doped-, laminated- 등을 통해 새로운 high-k 소재 개발 - ALD 증착용 새로 개발된 전구체 특성 평가 [Hf, Zr, Ce, Ti, Sn precursor 등 평가 진행] - 전극 및 유전막 사이 계면 특성 향상을 위한 advanced ALD, 계면 처리 요소 기술 개발 - Conduction mechanism, C-AFM 및 Impedance analyze 분석을 통해 Grain boundary에서의 누설전류 영향성 규명
2차원 소재 합성 및 소자 제작
- CVD를 이용한 MoS2, WSe2, ReS2, MoSe2 등의 2차원 소재 합성
- 2차원 소재 기반의 thin film transistor, optoelectronics 등의 소자 제작 및 평가
- 2차원 hetero-structure 소재 기반의 photo-synaptic device 제작 및 평가
차세대 저저항 전극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 Mo 기반의 MoN, metal Mo ALD 공정 기술 개발
차세대 high-k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연구

2차원 소재 합성 및 소자에 관한 연구

차세대 저저항 Mo 기반의 전극 소재 개발 연구

김동하 교수 연구팀

김동하
- 나노소재 합성 및 반도체식 화학센서 응용 전문가
- 광열 효과를 통한 초고속 소재/촉매 합성
- Chem, ACS Nano, Advanced Materia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dvanced Science 등 최근 6년 출판 해외 저널 논문 53편 (상위 10% 이내 저널 44편)
- 다수의 국내/해외 특허 출원/등록 및 2건의 기술이전 기여
- MIT 박사후 연구원 (2022.03-2024.02)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23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 3 건/2 건
- 해외특허 출원 : 4 건
김동하 교수 연구팀
유/무기물 반도체 기반 가스 센서 연구
-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나노쉬트 구조를 활용한 가스센서 응용
- 전도성 금속유기구조체, 탄소 나노튜브, 및 고분자 기반 상온 동작 가스센서 응용
- 금속유기구조체 기반 분자 거름체 도입을 통한 가스 선택성 제어
나노섬유 얀 기반 웨어러블 센서 연구
- 반도체 소재 증착을 통한 섬유 기반 웨어러블 센서 응용
- 색 염료 결착을 통한 색 변화식 섬유 센서 응용
소재의 광열 효과를 활용한 광열 충격 합성 연구
- 세라믹 나노소재의 결정성, 결함, 및 결정상 제어
- 단일 원자 촉매 및 고엔트로피 촉매 합성
- 그래핀 산화물 환원 및 헤테로 원소 도핑
- 소재 및 촉매의 초고속/초고온 대량 합성 기술
- 소재 물성 제어 및 촉매 합성을 통한 반도체식 센서 및 촉매 응용
유/무기물 반도체 기반 가스 센서 연구

나노섬유 얀 기반 웨어러블 센서 연구

소재의 광열 효과를 활용한 광열 충격 합성 연구

윤창모 교수 연구팀

윤창모
- 주식회사 모만 대표이사
- 원자층 증착법 (ALD) 연구
- 원자층 식각 (ALE) 연구
-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 추진위원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다수의 정부/민간과제 수주
- 원자층 증착 장비/공정 개발 및 사업화
- 국내 특허 출원/등록
윤창모 교수 연구팀
원자층 증착 공정/장비 개발
- 원자층 증착 장비 개발
- ALD 기반 metal, oxides, nitrides, 2D materials 공정 연구
선택적 원자층 증착법 및 원자층 식각 연구
- 선택적 원자층 증착법 (AS-ALD) 연구
- 원자층 식각 (ALE) 연구
Nano device 연구
- TFT, MIM, MOS 등 기초 소자 연구
- Ferroelectric device 연구
ALD 장비 개발 기술

Nano device 연구

AS-ALD / ALE 연구

김유정 박사 연구

김유정
- 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 박사
-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전기화학적 도금기술 연구
- 다수의 정부과제 및 삼성전자 등의 다양한 기관과 산업과제 수행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10 편
- 국내특허 출원 : 4 건
김유정 박사 연구 내용
첨가제 및 도금 공정조건 조절을 통한 Cu TSV filling
- Single additive system을 활용한 high aspect ratio TSV filling
- Thermal extrusion으로 인한 stress 최소화를 위한 도금 및 공정 기술 개발
Cu-Cu bonding 을 위한 Cu 박막 형성 기술
- 도금 공정 변수 등의 조절을 통한 Cu 박막 내 nanotwin 등의 defect 조절 및 미세구조 분석
- Galvanic displacement 기술을 활용한 Ag passivation layer 형성 연구
Noble metal을 활용한 nano trench filling
- Rh electrodeposition을 위한 solution stability 연구
- Ru electrodeposition 특성 및 첨가제의 상호작용 분석
TSV thermal extrusion 연구

전기화학분석을 통한 첨가제의 거동 연구

Passivation layer를 활용한 Cu-Cu bonding


문형진
- 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 박사
- 고방열 반도체 소자용 열계면소재(TIMs) 연구
- 다수의 정부과제 및 다양한 기관과 산업과제 수행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5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 4 건
문형진 박사 연구
나노 BN 합성 및 등방성 열전도 제어 기술
- Precursor 조절을 통한 고순도 및 고결정성 나노 BN 합성
- Spray drying system을 활용한 등방성 구형 필러 제조 기술 개발
상변환물질(PCMs) 적용 열에너지 저장 시스템 설계
- 세라믹 지지체 기반 현태안정성 상변환물질(SSPCMs) 제조 기술 개발
- 고내열성 Encapsulation 공정 기술 개발
방열 특성 극대화를 위한 3차원 열전달 네트워크 형성 기술
- 이종 세라믹 필러 배합비에 따른 Core-shell 구형 입자 제조 기술 개발
- 열처리 공정을 활용한 세라믹 휘스커(whisker) 합성 및 열전달 경로 극대화
등방성 방열 기술 연구

3차원 구조체 합성 및 고방열 열전달 경로

세라믹 기반 열에너지 저장 복합소재


임민섭
- 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과 학사
- 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과 박사
- 다수의 정부과제를 통한 다양한 기관과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5 편
- 국내특허 출원 : 11 건
임민섭 박사 연구
고분자 기반 방열복합소재 제조 및 특성분석
- 질화붕소 기반 등방성 고방열 열계면소재 연구
- 반도체 패키지 방열 특성 향상을 고방열 열계면소재 연구
유/무기물 기반 가스센서 특성분석
- 레이저를 활용한 그래핀 기반 상온구동 수소 가스센서
- 전도성 금속유기구조체, 그래핀 기반 상온 동작 가스센서 응용
질화붕소 기반 등방성 고방열 열계면소재

3차원 구조 유도 방열 특성 해석

유/무기물 기반 가스센서 특성분석

퓨전전기에너지센터
-
이방욱 교수 연구팀
-
김성민 교수 연구팀
-
김병호 교수 연구팀
-
이은수 교수 연구팀
-
김정현 교수 연구팀
-
Hu Jin 교수 연구팀
-
심상완 교수 연구팀
-
김동욱 교수 연구팀
-
이영우 교수 연구팀
이방욱 교수 연구팀

이방욱
- DC 전기기기 절연설계 전문가
- HVDC 절연 설계 및 전력변환기술 연구
- 힌국전력공사, LS 전선 등의 다양한 기관과 과제 수행
- LS ELECTIRC 수석연구원 (1998-2008)
- 대한전기학회 기획정책이사
-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 편집이사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8개, 약 21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4억+
- SCI 논문: 15 편
- 국내특허 출원 : 8 건
이방욱 교수 연구팀
DC 전력기기 설계 핵심 기술 개발
- 전계해석을 통한 다양한 형상의 전력기기 절연설계기준 도출
- 전력 시스템 절연 및 수명평가 기반 기술 도출
DC 계측 및 진단을 통한 계통 감시 및 기기 진단
- 계통에서의 PD 감시 및 검출을 통한 사고 진단 기술 개발
- DC PD 진단 기술 알고리즘 및 센서 개발
전력 계통 해석을 통한 전력변환 기기 설계
- DC 송배전 전력기기의 전기적/기계적 설계 기술 도출
- 송배전 전력변환 모듈 신뢰성 설계 기술 개발
DC 전계 해석 기술

계통 해석을 통한 전력변환기술 연구

HVDC 절연설계 및 성능 평가

김성민 교수 연구팀

김성민
- 전력 변환 시스템 전문가
- 대용량 전력 변환 시스템 설계 및 제어 기술
- 삼성전자 생산기술연구소 근무 (2014-2015)
- IEEE IAS Paper Award(Second) (2014)
- 전력전자학회 논문상 (2019)
- 한양대학교ERICA 학술상/신진연구자상 (2020)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6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4개, 약 2억
- 논문: 1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7건/2건
- 해외특허 출원: 1건
김성민 교수 연구팀
고효율/고성능 전력변환시스템 설계/제어
- 대용량 모듈형 전력변환시스템 토폴로지 및 모듈 구조 개발
- 계층형 제어 구조 연구 및 고속 통신 기반 제어 시스템 설계
차세대 전력계통 운영 전력기기 개발
- MVDC/LVDC 전력 기기 토폴로지 연구 및 개발
- 반도체 변압기 기반 전력계통 운영 알고리즘 및 시스템 설계 기술
차세대 전력계통 운영 전력기기 개발

고효율/고성능 전력변환시스템 설계/제어

김병호 교수 연구팀

김병호
- 고신뢰성 회로설계 전문가
- 고성능 및 고신뢰성 ADC, DAC, Amplifier, PLL 설계
- 미국 Broadcom 근무 (2010-2015)
- 미국 Texas Instruments 근무 (2006-2009)
- 미국 National Semiconductor (2006)
- SPOT Award, Broadcom, USA
- Best Reviewer, IEEE Inst. & Meas.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5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개, 약 0.4억
- 논문: 8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4건/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2건
김병호 교수 연구팀
Built-in self-calibration 기반 전력 및 mixed-signal 회로설계
- Charge-sharing SAR ADC의 foreground calibration 설계 연구
- Flash ADC의 histogram기반 calibration 기술 연구
- Split-capacitor SAR ADC의 tunable 알고리즘 연구
-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력반도체 자가 보정 기술 연구
Self-testing을 위한 전력회로 및 analog circuit design 연구
- Embedded segmented ADC의 self-testing 기반 설계
- Spectral leakage 기반 자가테스팅을 위한 ADC 설계
- 전력반도체 루프백 기반 self-test 설계 연구
고신뢰성 전력반도체 및 Analog and Mixed-Signal Circuits and Systems

이은수 교수 연구팀

이은수
- 전력변환 및 전력전송 시스템 전문가
- 철도차량용 반도체 변압기 및 주요 전장품 기술 연구
- 무선전력기술 관련 10개 이상 어플리케이션 기술 연구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2022)
- LG전자 CTO 전력전자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2022)
- (주)플렉스파워 기술이사 (2015~2017)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0.5억
- SCI 논문: 15 편 (1저자 10건)
- 국내특허 출원/등록: 12건/3건
- 해외특허 등록: 3건
이은수 교수 연구팀
고효율/고성능 전력변환시스템 설계/제어
-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시스템 토폴로지 및 제어 연구
- 고효율 DC/DC 전력변환 컨버터 토폴로지 및 제어 연구
- SiC/GaN 기반 전력 구동 요소기술 연구
고효율/고자유도 전력전송시스템 설계/제어
- 장거리 다중 무지향성 무선전력시스템 설계 및 연구
- 고효율 고절연 무선전력 공급장치 설계 및 연구
- 머신러닝 기반 송수신 코일 및 고주파 변압기 설계 및 연구
다목적 전력전송시스템 설계 기술

전력변환 및 제어 기술

머신 러닝 기반 비선형시스템 최적설계 기술

김정현 교수 연구팀

김정현
- 마이크로파 회로 및 시스템공학 전문가
- RF 회로/시스템 연구
- ㈜Broadcom 무선반도체 사업부(WSD) 설계그룹장(2007) 전무이사
- ㈜Broadcom WSD 사외이사(2018)
- 한양대학교 초고주파통신부품기술 ICC(MMCC ICC)센터장(2021)
- 한양대학교 차세대통신 RF설계센터 센터장(2022)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신산업판정위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3개, 약 15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5개, 약 11억
- SCI 논문/학회: 4 편/29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2건/3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1건
김정현 교수 연구팀
Microwave & Sub-6 GHz MMIC
- 모바일 분야 Front-end module 최신 기술 동향에 따른 연구 개발
- Tx Front-end module 개발, Multi-mode Multi-band(MMMB) PA 개발
- Load insensitive PA & Module size reduction techniques
Commercial & Military
- 국방분야 고출력 증폭기 설계 (100W 이상 증폭기)
- S-band, SC-band, Ku-band 등 다양한 주파수 대역 100W 이상 증폭기 설계
- 고출력 PA의 열 분석 및 모델링
Millimeter-wave & Sub-THz MMIC
- 초고주파분야 (W-band)의 Transceiver 주요 RF 반도체 설계
- 스위치, 전력증폭기, 저잡음증폭기, 믹서 등
- 5G 이후 세대의 주요 산업
Microwave & Sub-6 GHz MMIC

Millimeter-wave & Sub-THz MMIC

Commercial & Military

Hu Jin 교수 연구팀

Hu Jin
- 사물인터넷 및 통신네트워크 전문가
- 5G 및 6G 통신시스템 프로토콜 설계 및 분석 연구
- 캐나다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박사후 연구원 (2011-2013)
- 한양대학교 신진연구자상 2018
- 한양대학교 우수연구자상 2019
- Elsevier ICT Express (IF: 4.754) 편집위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5억
- SCI 논문: 28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2건
교수 연구팀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선접속 기술 연구
- Massive IoT 지원을 위한 AI 기반 분산적 채널 액세스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검증
- 5G+ 스마트시티 환경에서 무선 연결성 효율 증대를 위한 비면허대역 Massive IoT 무선 접속 핵심 기술 개발
- Beyond 5G IoT 네트워크용 학습기반 랜덤액세스 원천기술개발
5G 및 6G 통신시스템 연구
- 멀티기가비트 5G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한 QoS 지원기술
- 4G·5G Dual connectivity 환경에서의 무선성능 분석
- 개방형 무선접속망 기반의 비면허대역 NR-U 및 WiFi/WiGig 공존기술 연구
사물인터넷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 제어 기술

5G 및 6G 통신시스템 프로토콜 설계 및 성능 분석 연구

심상완 교수 연구팀

심상완
- 레이저 광학 기반 반도체 물성 분석 전문가
- 반도체 소재 물성, 나노소재 광소자 기술 연구
- 미국 Los Alamos National Lab. (2018-2019)
-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전자계연구단 (2018)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3.5억
- SCI 논문: 13 편 (주저자 11건)
- 국내특허 출원/등록: 1건
심상완 교수 연구팀
비접촉/비파괴 반도체 소재 물성 분석
- 초고속 에너지 캐리어 동역학 연구
- 반도체 소재 기반 초고속 광 스위칭 기술
- 반도체 소재 결함 및 열 특성 분석
초고속 테라헤르츠 활용 및 제어 연구
- 초고속 피코초 스케일의 캐리어 동역학 연구
- 테라헤츠르 파형 변조 기술 연구
- 테라헤르츠를 이용한 반도체 물성 분석 연구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한 소재 특성 분석 기술

초고속 레이저 마이크로스코피 기술

반도체 소재 기반 초고속 광 스위칭 기술

김동욱 교수 연구팀

김동욱
- 초고압 전력케이블 및 접속재 기술 전문가
- HVDC & 해저 & 초전도 케이블 및 시스템 기술 연구
- LV &MV 부스닥트 시스템 기술 전문가
- 국책과제, 한국전력공사 등의 다양한 기관과 과제 수행
- LS전선 최고기술책임자 (CTO) 역임 (2015-2018)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산업계 및 학회 부회장 (2019~2022)
- 한국 산업기술진흥협회 CTO클럽 회원 (2015 ~)
최근 3년간 실적
- 친환경 PP (Polypropylene) 절연 MV 케이블 개발
- 500kV HVDC MI (Mass-Impregnated) 케이블 및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 320~ 500kV HVDC XLPE 해저 케이블 및 시스템 개발 및 실용화
김동욱 교수 연구팀
MV & HVDC 전력 케이블 핵심 기술 개발
- 전계해석을 통한 다양한 형상의 전력케이블 절연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 MV & HV DC 절연재료 및 제품 신뢰성 평가 기술 개발
전력케이블 & 부스닥트 시스템 진단을 통한 계통 감시 및 진단
- 전력케이블 PD 감시 및 검출을 통한 사고 진단 기술 개발
- 전력선로 On-Line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LV & MV 부스닥트 On-Line 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해저 케이블 설계 & 평가 기술 개발
- 해상 풍력용 해저 케이블 시스템 전기적/기계적 설계 기술 도출
- 해저 케이블 신뢰성 평가기술 개발
- 해저 시스템 고장점 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개발
DC 전계 해석 기술

계통 해석을 통한 전력변환기술 연구

HVDC 절연설계 및 성능 평가

이영우 교수 연구팀

이영우
- 전력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기법 설계 전문가
- 하이브리드 ESS 및 신재생에너지 그리드 계통 연구
- 전력계통 고장 모델링 및 실시간 진단기술 연구
-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계통연계 기술 연구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2018~2019)
- 전남대학교 부교수 (2020~2023)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우수신진연구자상 수상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4개
- 산학과제 수주실적: 총 8개
- SCI 논문: 14 편 (주저자 11건)
- 국내특허 출원: 4건
이영우 교수 연구팀
마이크로/나노 전력그리드 모델링 및 최적제어기법 개발
- 분산전원 및 부하등을 고려한 나노 전력그리드 모델링
- 부하 사용량 및 전력생산 단가를 고려한 에너지 밸런싱 기술 연구
- 멀티 노드 전력시스템의 최적 제어 기술 연구
통신지연/외란을 고려한 강인제어기법 연구
- 외란 및 통신지연을 고려한 그리드 모델링
- 강인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시뮬레이션 검증 연구
- HIL을 이용한 실시간 고속제어 검증 연구
마이크로/나노 전력그리드 모델링 및 최적제어기법 개발

통신지연/외란을 고려한 강인제어기법 연구

첨단열시스템센터
-
김영득 교수 연구팀
-
류 근 교수 연구팀
-
김남욱 교수 연구팀
-
홍석준 교수 연구팀
-
오준호 교수 연구팀
-
김호준 교수 연구팀
-
김진용 교수 연구팀
-
윤종헌 교수 연구팀
-
노형도 교수 연구팀
-
최이현 교수 연구팀
김영득 교수 연구팀

김영득
- 열시스템 설계,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
- 열 및 분리막 기반 고효율 수처리 공정 개발
- 분리막 및 흡착제 기반 가습/제습 공정 개발
- 촉매, 흡착제, 분리막 기반 가스정제 공정 개발
- 최근 10년간 Water Res., Desalination, J. Membr. Sci., Chem. Eng. J. 등 국제 저명 저널 논문 55편 출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17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약 1억
- 논문: 21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1건/1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1건
김영득 교수 연구팀
열 및 분리막 기반 수처리 공정 개발
- 산업폐수 재이용/무방류 수처리 기술
- 수전해 공급 초순수 생산/무방류 해수담수화 기술
- 농축(폐)수 유가자원 회수 기술
분리막 및 흡착제 기반 가습/제습 공정 개발
- 온·습도 독립제어 초고효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기술
- 액체건조제 및 소수성 분리막 기반 제습/재생 기술
- 고흡착능 흡착제 기반 고효율 제습/건조 기술
흡착제, 분리막 및 촉매 기반 가스정제 공정 개발
- (바이오)가스 정제 및 고질화 하이브리드 공정 기술
- 산업 배출가스에 따른 고효율/고성능 적정기술 개발
열시스템 설계,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
- 열 및 물질전달 향상 기술
- 열공정 시스템 성능/효율 향상 및 에너지 고효율화 기술
열 및 분리막 기반 수처리 공정

분리막 및 흡착제 기반 가습/제습 공정

흡착제, 분리막 및 촉매 기반 가스정제 공정

열시스템 설계, 모델링 및 최적화 연구

류 근 교수 연구팀

류 근
- 고속 회전기계 회전체동역학 및 베어링 시스템 세계적 전문가
- 유체 베어링, 댐퍼, 실 (seal) 기계요소부품 연구/li>
- 미국, 독일, 인도, 터키 등 해외 터보기계 산업체 과제 다수 수행
- 미국기계학회 최우수 논문상 (2회) 및 공로상 수상
- 미국기계학회 및 세계동력및추진학회 젊은연구자상 수상
- 미국기계학회 및 미국트라이볼로지학회 SCI 학술지 부편집장
- 前 미국기계학회 터보엑스포 조직위원장 및 심사위원장
- 前 미국 Texas A&M 대학 터보기계연구실
- 前 미국 보그워너 터보 시스템즈 개발엔지니어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10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4개, 약 1억+
- 해외산업체과제: 미국, 독일, 인도, 터키 등 다수
- 국내외 학술대회 및 학술지: 10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0+건/5+건
류 근 교수 연구팀
액체로켓엔진 터보펌프 회전체 동역학 (해석, 실험, 성능 측정/평가)
- 회전체동역학 모델링
- 베어링 및 실 시스템의 회전체동역학 영향
- 실험을 통한 모델 검증


액체로켓엔진 터보펌프 베어링 시스템 (해석, 실험, 성능 측정/평가)
- 고속 유체 베어링 난류 해석
- 베어링 정적/동적 계수 실험을 통한 측정
- 베어링 성능 평가 장치 개발


차량용 터보차저 회전체동역학 및 베어링 (해석, 실험, 성능 측정/평가)
- 비선형 베어링 고려한 회전체동역학 모델링 및 해석
- 고속 터보차저 NVH 측정 실험
- 무급유 공기 베어링 시스템 적용, 실험을 통한 검증 및 평가

연료전지 압축기 및 고속모터 (해석, 실험, 성능 측정/평가)
- 초고속 무급유 터보압축기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무급유 공기 베어링 설계, 성능 예측 및 시험 평가
- 모터/발전기 일체형 고속 터보기계 회전체 시스템 설계 및 개발

김남욱 교수 연구팀

김남욱
- 전동화 차량 시스템 최적 제어
- 전기자동차의 열관리 시스템 최적화
Thermal management system,
heat storage system, optimal control 등
최근 5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17편 - 현대자동차㈜, 현대트랜시스㈜, 삼성SDI㈜,
테너지㈜ 등 기업체 수탁과제 수행 - 기술이전실적 4억2천만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10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약 5억
- SCI 논문: 14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3/3건
김남욱 교수 연구팀
전동화 차량 시스템 연구
- 시스템 작동 효율 향상을 위한 차량 시스템 최적 제어
- 열기관(엔진) 및 전기기기의 하이브리드 구동 최적화를 위한 구조 및 제어 개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전기차 열관리 시스템 최적화
- 전기자동차용 히트펌프 적용을 통한 시스템 성능 향상 연구
- 배터리, 모터 열성능 모사 및 차량 열관리 통합 시스템 개발 및 최적화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전기차 열관리 시스템 최적화

전동화 차량 시스템 연구

홍석준 교수 연구팀

홍석준
- 선택적 레이저 공정 개발 및 응용
- 광열반응 정밀제어 및 분석
Nature Communications, Advanced Material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등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90편 - 우수신진연구, 기초연구실(BRL) 등 다수의 국가 과제 수행
- ADD, KITECH 등 국가연구소와의 공동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8억+
- 타과제 수주실적: 약 1억+
- SCI 논문: 25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1건
홍석준 교수 연구팀
선택적 레이저 공정 개발 및 응용
- 나노물질 대응 레이저 미세가공 공정 개발 (e.g. 소결, 어블레이션, 웰딩, 열분해 등)
- 유연/신축성 전자 소자, 동적 광학 소자, 소프트 로보틱스 등 응용 분야 발굴
광열반응 정밀제어 및 분석
- 초극단파 레이저 기반 광열 반응 시공간 정밀 제어
- 급속 광열반응에 따른 물질특성 및 미세구조 특성 변화 분석
광열반응 정밀제어 및 분석

선택적 레이저 공정 개발 및 응용

오준호 교수 연구팀

오준호
- 전자부품/배터리 등 첨단 열관리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상변화 열전달 현상을 활용한 열전달 효율 향상
- 나노구조체와 계면현상을 활용한 기능성 표면 개발
- 최근 5년간 Nano Letter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 등 국제 저명 저널 논문 총 22편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15억
- SCI 논문: 1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건
오준호 교수 연구팀
전자부품/배터리 등 첨단 열관리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EV/ESS 등 배터리 시스템의 냉각 및 열폭주현상 방지를 위한 열관리 시스템 개발
- 전력전자부품/고성능 전자부품 등의 열관리 향상 기술 개발
상변화 열전달 현상을 활용한 열전달 효율 향상
- 응축, 비등, 동결 등 상변화 현상을 활용한 열전달 효율 향상 기술 개발
- 열교환기, 에너지 회수/변환, 냉각 및 열관리 등 다양한 열시스템에 적용
나노구조체와 계면현상을 활용한 기능성 표면 개발
- 나노 구조체와 코팅 등을 통해 계면현상 조절을 통한 표면 기능성 연구
- 친수/발수, 방청, 항박테리아/바이러스성, 항파울링성 등 다양한 기능성 표면 개발
전자부품/배터리 등 첨단 열관리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상변화 열전달 현상을 활용한 열전달 효율 향상

나노구조체와 계면현상을 활용한 기능성 표면 개발

김호준 교수 연구팀

김호준
- 반도체 장비 시뮬레이션 전문가
- 저온 플라즈마 해석기술 보유
- 다상유동/초임계유동/난류유동 해석기술 보유
- 삼성전자 책임/수석 (2008~2018)
- SK 하이닉스社 자문교수 (2019~2020)
- 테스社 자문교수 (2020~2022)
- SK 하이닉스社, 테스社, Tokyo Electron社 등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개, 2.8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13개, 약 6.4억+
- SCI 논문: 16 편
김호준 교수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생산 장비의 연구 (시뮬레이션)
- 플라즈마 증착 (PECVD, PEALD, Remote Plasma Source)
- 플라즈마 식각/세정 (Direct Plasma Etching/Cleaning, Ashing)
복잡계 시스템(Chaotic System)의 연구
- Microfluidic Mixing 최적화/제어를 위한 Chaotic Advection의 수치해석 연구
- 정밀한 유동 해석을 위한 수치해석 알고리즘의 개발 (Spectral Element Method)
초임계 유체 장비의 연구 (시뮬레이션)
-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건조 공정의 해석
- 초임계 유체 장비 내부의 열/유동의 균일화/최적화

차세대 반도체 장비(플라즈마, 초임계)의 설계 및 개조/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김진용 교수 연구팀

김진용
- 배터리 열폭주 및 화염 수치모델 개발 및 시뮬레이션
- 1D 모델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열화 해석
- 3D 모델을 이용한 대용량 배터리 디자인 및 해석
- Rivian, USA, Staff Engineer (2022-2023)
- NREL, USA, Post-doc (2019-2021)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3 편
김진용 교수 연구팀
배터리 열폭주 및 화염 수치모델 개발 및 시뮬레이션
- 배터리 열폭주 수치기법의 최적화 및 정확도 향상
- 열폭주/가스분출/난류연소를 고려한 CFD 모델 개발
1D 모델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열화 해석
- 극저온 등 극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치 모델 개발
- 전기화학모델을 이용한 DCFC Protocol 등 고속충전 최적화
3D 모델을 이용한 대용량 배터리 디자인 및 해석
- 내부 전압분포/열전달을 고려한 대용량 각형/원통형 셀의 형상 디자인
- 배터리 모듈/팩의 열폭주 방지 및 열관리 시스템 디자인 기술 개발
배터리 열폭주 및 화염 수치모델 개발

1D 모델을 이용한 배터리 충방전/열화 해석

3D 모델을 이용한 대용량 배터리 디자인 및 해석

윤종헌 교수 연구팀

윤종헌
- 한양대학교 ERICA 교수
- 한국지역난방공사 열수송관 내구성 평가과제 수행
- KDHC, KHNP 등 다양한 기관과 과제 수행
- LG, 현대자동차, POSCO 등 국내 대기업과 연구 수행
- 한국재료연구원 선임연구원 (2011-2014)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3개, 약 21.9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3.7억+
- SCI 논문: 55 편
- 국내외 특허 출원 : 8 건
윤종헌 교수 연구팀
열수송관 보온재 내구성 평가 핵심기술 개발
- 열수송관의 매설조건 및 운영상태에 기반한 보온재 내구성 평가기술 개발
- 장기간 운영된 자연노화 보온재의 파단특성 모사를 위한 가속노화장비 개발
- 열수송관의 조건에 따른 머신러닝 기반 열수송관의 잔여 내구성 예측기술 개발
머신비전 및 인공지능 기반 의료, 첨단제조 솔루션 개발
- 머신러닝 기반 2D, 3D 의료영상 분석 및 진단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 기반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통한 로봇 암 제어기술 개발
- 2D 및 3D 객체 모델링 기술을 통한 surface quality 솔루션 개발
주조재의 멀티스케일 미세조직 성장 해석기술 개발
- Macro-micro 멀티스케일 미세조직 해석 알고리즘 개발
- 주조재의 3상(고체, 액체, 기체) 해석기술을 적용한 수지상정구조 모사기술 개발
- 티타늄 주조재의 미세조직 성장 및 phase 성장 모사 알고리즘 개발
열수송관 보온재의 내구성 평가

주조재의 멀티스케일 미세조직 해석기술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반 의료, 첨단제조 솔루션


노형도
- 한양대학교 ERICA 기계공학과 조교수 (2023-현재)
- 한국재료연구원 선임연구원 (2021-2023)
- 주요 연구 테마: 고분자 복합재의 성형, 진단, 기능화
- 힌국복합재료학회 성형및나노복합재료 부문 위원
- 힌국복합재료학회 친환경에너지미래자동차 부문 학술이사
- 한국정밀공학회 IJPEM Editorial Board
-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재료연구원 등과 연구 과제 수행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4개, 약 8.5억
- SCI 논문: 11 편 (최근 5년 h-index=13)
- 국내특허 출원: 3 건
노형도 교수 연구팀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고속 및 첨단 성형
고분자 복합재 접합 및 평가
구조 건전성 진단 (SHM) 및 비파괴 평가 (NDE)
구조 에너지 저장


최이현
- 고분자 성형/설계 및 응용 연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연구원 (2022-2023)
- EDmicbio (벤처회사) 팀장 (2021-2022)
- 대한기계학회 부문이사
- 정밀공학회 부문이사
- 다수의 분야상위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SCI 논문: 3 편 (분야 상위 10% 2편)
- 미국 출원 : 2 건
최이현 교수 연구팀
미세구조물 기반 첨단열시스템 모니터링
- 모니터링 object에 요구되는 최적 마이크로칩 설계/제작
- 비침습적 모니터링 기술 개발 및 고도화
- 이미지 분할 알고리즘을 통한 인공지능 모니터링 기술 개발
첨단열시스템 적용가능 자연모사 soft actuator
- 첨단열시스템 적용을 위한 actuation force와 speed 최적화
- 멀티스케일 고분자 성형기술을 통한 자연 모사 soft actuator 설계/제작
전기방상 공정기반 멤브레인 제작 및 열시스템 설계/구조
- 열시스템 구조 적합 전기방사 재료 및 공정 기술 최적화
- permeable particle size에 따른 porosity 최적 성형공정 개발
- object 특성에 따른 선택적 permeability 기술 개발
미세구조물 기반 모니터링

자연모사 soft actuator

전기방사 공정을 통한 filtration

탄소중립에너지인프라센터
-
안용한 교수 연구팀
-
이한승 교수 연구팀
-
이상효 교수 연구팀
-
신민재 교수 연구팀
-
정찬우 교수 연구팀
-
방기성 교수 연구팀
-
안치원 교수 연구팀
-
김별 교수 연구팀
안용한 교수 연구팀

안용한
- 지속가능한 스마트 건설 전문가
- 모듈러, 그린리모델링, AI기반 스마트 건설 기술 연구
- ㈜ 포스코,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주요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 스마트 건설 기술 개발 과제 수행
- 경기도 건축위원회 구조안전 심의위원
- 한국철강협회 강구조센터 모듈러 건축위원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0개, 약 98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4억+
- 논문: 34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8건/1건
안용한 교수 연구팀
건설현장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건설현장 재해 유발 위험요인 이미지 DB 구축
- 실시간 위험요인 자동 인지 딥러닝 알고리즘 개발
- 위험요인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스마트 외장재·설비 융복합 시스템 전생애주기 관리체계 개발
- 스마트 외장재·설비 융복합 시스템 실증수행 지원
- 스마트 외장재·설비 융복합 시스템 BIM 기반 설계 자동화 서비스 개발
모듈 기반 스마트 이동형 병원 플랫폼 및 UX 디자인 개발
- 모듈별 공간 배치 등 설계 필요조건 도출
- 모듈 객체의 구조/설비 필요조건 토출
- 모듈러 병원 최적화 설계전략 도출
영상 AI 고속처리를 위한 딥러닝 모델 최적화 방법론 연구
- 딥러닝 기반 철강 결함 검출 기술 개발
- 결함 검출 기술 고속화
건설현장 통합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이동형 병원 플랫폼 및 UX 디자인 개발

스마트 외장재 시스템 전생애주기 관리체계 개발

이한승 교수 연구팀

이한승
- 지속가능/친환경 첨단 건설재료 개발 전문가
- 건설구조물의 내구성 설계, 내구성 향상, 보수/보강 공법 개발, 건설로봇/건설IoT/건설 모니터링 연구
- 국토부, LH공사, 국토안전원 등 국책연구기관과 ㈜ 삼표, 성신양회, 등 시멘트/콘크리트 기술 개발
- 한국공학한림원 회원, 한국건축시공학회 부회장
- 탄소저감 건설재료, CO2 저감 재료시공 기술 개발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0개, 약 62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2억+
- 논문: 약 10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4건/6건
- 국토부/환경부 건설신기술 개발 : 6건
이한승 교수 연구팀
건설구조물 품질 향상 및 내구성 혁신 기술 개발 연구
- 건설구조물 내구성혁신 연구센터(ERC), 내구성설계, 내구성 국가 기준 개발
- 콘크리트 구조물 건설현장 단위수량 시험방법/시험기기 및 기준 개발
-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장수명주택 인증 기준 개발
건설구조물의 지속가능 유지관리 기술 개발
- 건설구조물의 보수/보강 첨단 건설신기술 개발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구조물의 내구성 향상 및 유지관리 신기술 개발
4차산업혁명기술 융합 건설신기술 개발
- 인공지능(딥러닝, 머신러닝) 기반 건설재료 및 공법 융합 응용 연구
- IoT 센서를 활용한 건설 모니터링/진단/유지관리 기술 개발
- 건설로봇을 활용한 건설재료 제조 및 건설시공 기술 개발
지속가능/친환경 건설재료 및 건설공법 개발
- 열화인자 고정/흡수 능동형 보수재료 및 건설공법 개발
- 탄소고정/흡수/탄소중립/CO2 저감 친환경 건설재료 및 공법 개발
IoT 기반 구조물 내구성 혁신 융합기술 개발

건설구조물 내구성설계/내구성 향상기술 개발

건설구조물 진단/유지관리 로봇 기술 개발

이상효 교수 연구팀

이상효
- 건축 IT 융합 전문가
- 드론, AI,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유지관리 기술 연구
-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 관련 다수의 국가 과제 수행
-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안전관리원 등 주요 공공기관과 스마트 유지관리 협업 수행
- 한국토지주택공사 심의위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ICT위원회 위원장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5개, 약 10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1억+
- 논문: 21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4건/0건
이상효 교수 연구팀
건축물 스마트 무인 안전진단 기술 연구
- 무인체 기반 건축물 무인 성능검사 기술 개발
- 딥러닝 기반 건축물 자율 성능진단 기술 개발
- 디지털트윈 기반 건축물 성능관리 기술 개발
건축물 외장재/설비 융복합 기술(IUES) 금융모델 개발
- IUES 에너지 경제성 평가 도구 개발
- IUES 에너지/탄소 저감 기반 금융모델 개발
건축물 스마트 무인 안전진단 기술 연구

신민재 교수 연구팀

신민재
- 건물 에너지 모델링 전문가
-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건물 적용 기술 개발
- University of Alabama 근무 (2018-2020)
- Texas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 Energy Systems Laboratory 근무 (2013-2018)
- ASHRAE Graduate Grant-In-Aid 수상 (2013)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개, 약 1.3억
- 논문: 7 편
신민재 교수 연구팀
제로에너지 건물의 제로에너지화 검증 기술 개발
- 건물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의 에너지 생산량 예측 모델 개발
- 건물 제로에너지화 시뮬레이션 검증 모델 개발
재실자 감지 센서를 활용한 건물 설비시스템 제어 알고리즘 개발
- Wi-Fi 시그널을 활용한 재실자 감지 기술 개발
- 재실자 감지 센서 연동 건물 설비시스템 운영을 통한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
도시 레벨의 건물 에너지 소비량 예측 모델 개발
- 건물 용도별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특성 분석 모델 개발
- 건물 에너지 수요량 예측 모델 개발
제로에너지 건물의 제로에너지화 검증 기술 개발

재실자 감지 센서를 활용한 건물 설비시스템 제어 알고리즘 개발

도시 레벨의 건물 에너지 소비량 예측 모델 개발

정찬우 교수 연구팀

정찬우
- 프리패브(Prefab) 및 모듈러 건축 분야 전문가
- 모듈러 건축 사업관리, 품질관리 및 요소기술 개발
- ㈜ 포스코,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주요 산업체 및 공공기관과 모듈러 건축 관련 과제 수행
- 경북대 박사후연구원, BK21선임연구원 (’05.04~’09.06)
- 포스코A&C 근무 (’09.07 ~ ’22.3)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개, 약 2.1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0.4억
- 모듈러 사업참여 3건 (설계, 프리컨, 기술지원)
- 모듈러 연구과제 책임 4건
- 국내특허 등록: 3건
정찬우 교수 연구팀
모듈러 발주방식 다각화 및 사업모니터링 연구
- 최적 모듈러 발주방식 및 사업모델 개발
- 모듈러 추진사업 진단, 평가 (설계, 프리컨, 제작, 시공) 및 Master Planner 수행
- 제도개선 및 지침정비
모듈러 건축 요소기술 개발 및 평가
- 모듈러 구조 접합 시스템
- 모듈러 건축 주거성능 향상 기술 (단열/열교, 기밀, 방수, 층간소음, 차음 등)
- BIM기반 모듈러 사업관리 (기획, 설계, 제작, 비용, 품질 관리)
모듈러 친환경 성능설계 및 평가 연구
- 대량생산 및 산업화에 따른 비용저감 및 온실가스 저감 효과
- 제로에너지 모듈러 건축 설계 및 성능분석
- 모듈러 건축물의 친환경 성능 평가 제도 개선
모듈러 건축의 공장자동화 연구
- 자동화 타당성 검토 : 자동화 수준 분석 및 진단
- 모듈 시스템 개선 및 자동화 공정설계
- Smart Modular Factory 개발 (생산, 안전, 품질 관리 등)
모듈러 발주방식 다각화 및 사업모니터링 연구

모듈러 친환경 성능설계 및 평가 연구

모듈러 건축의 공장자동화 연구

방기성 교수 연구팀

방기성
- 에너지기술평가원 새만금 국가종합실증연구센터 (연구위원) (’21.4 ~ 현재)
- 에너지기술평가원 새만금실증단지 추진단 (단장 / 센터장) (’19.01 ~ ‘21.4)
- 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기반본부 / 기술개발본부 / 평가관리본부 (본부장) (’15.09 ~ ‘18.12)
최근 3년간 실적
- 새만금 재생에너지 실증 연구
- 탄소중립 산업 · 에너지 기술 개발 연구
방기성 교수 연구팀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 교통 실증 연구
- 실증단지 인프라 조성 및 인허가 수행
- 디지털트윈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인프라 설비 통합 운영
탄소중립 산업 · 에너지 기술 개발 연구
- 재생에너지, 수소화, 에너지 고효율화 등 에너지 분야 연구
- 친환경 자동차, 석유 화학 등 산업(수송) 분야 연구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 교통 실증 연구 핵심 내용

재생에너지 디지털트윈 및 친환경 교통 실증 연구 최종 목표

안치원 교수 연구팀

안치원
- 책임연구원, 후보지 맟춤형 특화기획, 한국토지주택공사
- 모듈러MP(총괄계획가), 세종 행복도시 6-3 생활권 UR1-2 BL, 한국토지주택공사
- 책임연구원, 재난 대응 확장형 모듈러 음압 격리 시설 표준 설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 책임연구원, 모듈러 기반 의료시설 공간 프로그램 및 설계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 책임연구원 글로벌 R&D Zone 수요조사 및 타당성 연구/ Venture Zon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 및 융복합 R&D 마스터플랜 수립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2개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 SCI 논문: 1 편
- KCI 논문: 2 편
안치원 교수 연구팀
모듈려 건축 (Modular & Off-site Construction)
- 모듈러 건축에 최적화된 공간프로그램 구축 연구
- 입면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 건축 (Sustainable Design)
- 친환경 건축계획 및 설계
- 친환경 건축자재 & Ecology
건축정보모델링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건축정보모델링을 통한 건축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 및 Co-working 관련 연구
모듈러 음압격리시설 설계

모듈려 병동 설계

김별 교수 연구팀

김별
- 스마트 건설관리 전문가
- 지속가능 스마트 건설(CM, BIM, EMS, 안전, 품질 등) 관련 기술 연구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23억+
- SCI 논문: 3 편
김별 교수 연구팀
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건설사업관리
- 실증단지 조성을 위한 발주방안 및 사업관리방안 최적화
- 실증단지 조성사업 인허가 수행 및 시공
- BIM 기반 스마트 운영 및 유지관리 최적화
기축 공동주택 사용 용도별 에너지수요 최적화 서비스 개발 및 실증
- 에너지수요 최적화 서비스 개발
-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M&V 및 실증, 표준화
AI 기반 공동주택 하자진단 및 평가모델
- 공동주택 하자 분류 및 감지 모델 개발
- 노후도 평가 모델 개발 및 모델 성능개선
에너지 국가종합실증연구단지 건설사업관리

기축 공동주택 사용 용도별 에너지수요 최적화 서비스 개발 및 실증

AI 기반 공동주택 하자진단 및 평가모델

지속가능에너지기술센터
-
김태현 교수 연구팀
-
이선영 교수 연구팀
-
조국영 교수 연구팀
-
김종호 교수 연구팀
-
박주현 교수 연구팀
-
이화성 교수 연구팀
-
김진경 교수 연구팀
-
조용우 교수 연구팀
김태현 교수 연구팀

김태현
- 바이오리파이너리, 바이오매스 전처리 공정
- 바이오에너지, 친환경 바이오화학소재 생산
- 산학협력제1부단장 / 경기안산 강소특구지원단장
- Iowa State Univ. Assist. Professor (2007-2012)
- USDA-ARS-ERRC (2005-2007)
- 삼성엔지니어링 (1995-1999)
- LG화학 (1994-1994)
- 저서; 바이오매스 기초와 응용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개, 약 7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2개, 약 0.6억
- 논문: 17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2건/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
김태현 교수 연구팀
바이오연료 / 바이오화학소재 / 친환경소재 연구
- 기존 석유계 대체 주요 chemicals (lact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5-HMF 등), building block chemicals, 나노셀룰로오스
- 환경친화적 산업용 화학소재, 섬유, 식품, 환경, 건축/내장, 건강, 의료, 화장품의 기초 원료 및 소재
촉매, 효소, 미생물 발효 반응공정 연구
- 재생 가능한 화학 원료인 cellulose, hemicellulos, lignin, lipid, protein 등의 화학적-생물학적 분리 정제 기술 및 응용제품 기술
바이오연료 제조 통합공정 개발

바이오매스 전처리 /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 개발

천연물기반 고부가가치 화학소재 / 니노셀룰로오스

이선영 교수 연구팀

이선영
- 저차원 나노 복합체 구조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 친환경 저비용 나노 입자 적층 시스템 개발
- 전기 변색 소자 및 스마트 윈도우 개발 전문가
-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 美 Intel/Applied Materials 연구원 (1995-1997)
- LG 전자 기술원 책임연구원 (2002-2006)
- IJPEM-Green Technology Editorial Board 멤버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내/해외 PCT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6 개, 약 10억+
- SCI급 논문: 32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8건/9건
이선영 교수 연구팀
광환원 메커니즘 규명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 자연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으로 CO2 선택도 최대화
- 저차원 나노 복합체의 밴드갭 제어 및 노블 메탈 프리 광촉매 재료 개발
- 탈탄소화 기술로 태양에너지 이용 CO2 분해 및 CO, CH4 생산
친환경 건식 적층 시스템 기반 전기 변색 소자 연구
- 저전압 구동 젤 전해질 개발로 1m2 대면적 스마트 윈도우 제작
- Zero-transmittance 구현 스마트 미러 개발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 탄자니아 현지 ATC 대학 메카트로닉스·재료공학 학사과정 설립
- 재학생 파견 봉사프로그램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위한 탄자니아 교육 사업

광환원 메커니즘 규명 및 인공광합성 시스템 개발

친환경 건식 적층 시스템 기반 전기 변색 소자 연구

조국영 교수 연구팀

조국영
- 이차전지 4대 소재 (양극/음극/분리막/전해질) 개질을 통한 전지 성능 향상 연구
-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리튬금속전지/전고체전지)
- 삼성전자 책임연구원 (2005 - 2006)
- LG화학 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2002 - 2004)
- Adv. Mater., Adv. Funct. Mater., J. Mater. Chem. A 등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제/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8억+
- 만간과제 수주실적: 약2억+
- 논문: 22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5건/3건
- 해외특허 출원: 1건
조국영 교수 연구팀
Advanced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 고전압 구동 첨가제 소재 연구 연구 개발
- Flexible 리튬 이차전지 집전체 소재 연구 개발
- 중대형 전지용 세라믹 코팅 분리막 소재 연구 개발
- High-Ni 양극 소재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고안정성 실리콘 음극 소재 개발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 차세대 리튬 금속 전지의 리튬 금속 음극 안정화 기술 연구
-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황화물계 복합 전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기능성 유기재료 응용
- 다양한 구조의 기능성 고분자 입자 제조
- 전기 변색 소자 연구
Advanced & 차세대 리튬 이차 전지 연구 개발


김종호 교수 연구팀

김종호
- 저차원 유무기 나노소재 전문가
- 차세대 배터리용 나노 전기화학촉매 기술
- 수소 생산용 나노 광촉매 기술
- 나노센서 & 나노치료기술
- Nature Nanotechnology, Nature Chemistry, Nature Communications 등 최상위 논문 다수 발표 (h-Inhdex 42, i10-index 65)
-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현대자동차 등 다수의 산업체 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7.1 억 원
- 산업체과제 수주실적: 총 12.3 억 원
- 논문: 총 20 편 (상위 10% 이내 논문 15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6건/11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6건/1건
김종호 교수 연구팀
저차원 유무기 나노소재 합성 연구
- Bottom-up 기반 나노소재 액상 합성법 연구
- 탄소 나노소재, TMD, 유/무기 양자점, 플라즈모닉 입자
- 반응 원리 탐구 및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나노소재 기능화 & 원자 수준 나노구조 제어
- 다양한 나노소재의 계면 기능화 및 특성 탐구
- 원자 & 분자 수준의 나노구조 제어 및 활성 평가
신개념 나노센서 & 나노치료기술 연구
- 환경 오염물질 & 질병 마커 검출용 나노센서 개발
- 검출 및 치료가 가능한 나노테라노스틱스 연구

나노 전기화학촉매 및 차세대 배터리 연구

수소 생산용 나노 광촉매 연구

박주현 교수 연구팀

박주현
- 금속, 세라믹 재료의 리싸이클링과 자원순환공정 개발
- 온실가스 (CO2) 저감을 위한 금속(철강) 제조공정 개발
- 친환경, 에너지 저감형 금속 제조공정 개발
- 스웨덴 왕립공과대학 (KTH), 겸임교수 (2019-현재)
- 중국 북경과기대학 (USTB), 겸임교수 (2020-현재)
- POSCO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2002-2008)
- 현대제철 제1호 친환경 철강연구실 책임교수 (2021-현재)
- POSCO 탄소중립 기술자문교수 (2021-현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5개, 약 21억
- 민간과제 수주실적: 총 7개, 약 3.4억
- 논문: 6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9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건
- EPD Science Award (미국금속재료학회 최고논문상)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표창
박주현 교수 연구팀
금속, 세라믹 재료의 리싸이클링을 통한 유가금속 회수 기술
- 폐전기전자기기 (WEEE) 처리 효율 향상을 위한 건식제련 프로세스 연구
- Pyrometallurgical Processing을 통한 귀금속, 희소금속 회수
- 고온 반응기 내 Slag-Refractory 계면반응 현상 규명
철강 및 비철금속 제조공정에서 환경유해물질과 에너지 저감 기술
- 탄소중립 2050 대응형 전기로 내 수소환원철 (H2-DRI) 이용기술 연구
- 인체유해원소 (Fluorine) 사용 저감을 통한 친환경 철강공정 개발
- 전기-수소차용 연료전지 분리판, 모터용 전기강판 제조공정 개발
순환경제, 탄소중립사회 구현을 위한 친환경 철강기술

폐전기전자기기로부터 귀금속, 희소금속 농축-회수 기술

컴퓨터 응용 열역학 기반, 미래 모빌리티용 철강소재 제조기술

이화성 교수 연구팀

이화성
- 유기∙고분자 기반 전자소자 전문가
- 유기전자소자 및 센서 설계 기술
- 표면 및 계면제어를 통한 계면에너지 최적화 기술
- 나노입자 분산 및 복합고분자소재 기술
- 포항공대 고분자연구소 근무 (2009)
- New York Univ. 연구원 (2009-2011)
- Adv. Mater. Adv. Funct. Mater., Chem. Mater. 등
- 다수의 SCI 논문 및 국내 특허 게재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12개, 약 10억+
- 논문: 23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0건/3건
이화성 교수 연구팀
전자피부용 차세대 센서 연구
- 피부부착가능한 유연 압력, 변형, 화학센서
- 고신뢰도,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 다양한 센서 연구
- 외부신호 감지 메커니즘 규명
변형가능한 유기전자소자 연구
- 웨어러블 전자분야에 적용 가능한 유연하고 변형에 안정한 전자소자 연구
- 계면구조 제어를 통한 전자소자 에너지 최적화 연구
계면공학을 적용한 층간 에너지 최적화 연구
- 표면에너지 제어를 통한 박막간 에너지 구조 최적화 연구
- 나노입자 표면제어를 통한 고분자복합체 연구 및 응용
전자피부용 차세대 센서 연구

변형가능한 유기전자소자 연구

계면공학을 적용한 층간 에너지 최적화 연구

김진경 교수 연구팀

김진경
- TEM을 활용한 미세구조 분석 전문가
- 금속재료의 공정-미세조직-기계적 물성의 상관관계 연구
- 초고강도 철강,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연구
- Acta Materialia 7편, Scripta Materialia 6편 등 금속재료 분야 상위 저널에 다수의 논문 게재
- 대한금속재료학회 POSCO 젊은철강상 (2021)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약 4억7천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1억
- SCI 논문: 14 편
김진경 교수 연구팀
자동차용 초고강도 철강 소재 개발
- 석출강화 초고강도 중망간강 개발
- 중망간강의 공정 최적화 연구
고강도-고연신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 탁월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미세조직 제어기술 연구
- 고엔트로피 합금의 미세조직 정밀 분석 연구
초고강도 철강 소재 개발

고엔트로피 합금 개발


조용우 교수 연구팀

조용우
- 2016 실험실 창업, (주)엑소스템텍 대표이사
- 다년간 국가 과제 수행
- 다양한 세포 유래 엑소좀 연구
- 다수의 SCI 논문 게재 및 국내 특허 출원/등록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총 3개, 약 9억+
- SCI 논문: 12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 7 건/2 건
- PCT 출원 : 8 건
- 해외특허 출원 : 15 건
(미국: 5, 유럽: 5, 일본: 4, 중국: 1) - 기술이전 : 약 4천 3백만원+
조용우 교수 연구팀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Exosome) 연구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분리・정제 및 특성분석
- 엑소좀을 이용한 다양한 질환 치료제(폐섬유증, 퇴행성 관절염, 비만, 암 등) 연구
- 엑소좀을 이용한 세포 리프로그래밍 연구
식물 엑소좀 연구
- 다양한 식물에서의 엑소좀 분리・정제 및 특성분석
- 엑소좀을 이용한 효능 연구(미백, 항산화, 주름 개선 등)
엑소좀 엔지니어링 연구
- 인간 신장 유래 세포(HEK293T)의 DNA 형질주입을 통해 엑소좀에 치료 목적 단백질 발현
- 치료 목적 단백질을 포함한 엑소좀의 특성 분석 및 효능 연구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Exosome) 연구
-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특성분석

엑소좀 엔지니어링
- DNA 형질주입을 통한 photo-cleavable exosomes

식물 엑소좀 연구
- 식물 유래 엑소좀의 항산화 및 상처 치유 효능 연구

환경바이오센서센터
-
성기훈 교수 연구팀
-
임동우 교수 연구팀
-
채필석 교수 연구팀
-
이승환 교수 연구팀
-
김도균 교수 연구팀
-
이주헌 교수 연구팀
성기훈 교수 연구팀

성기훈
- 바이오센서 및 환경센서 기술 개발 전문가
- 의료진단용 바이오나노소재 합성 기술
- ㈜케어포유 CTO
- BK21+ 및 BK21 FOUR 교육연구단장
- 나노센서 연구소장
- 우수공학연구센터 ERC 센터장 역임
- SCI 논문 104편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21억 3천
- SCI 논문: 3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4건/3건
- 2019.03. ㈜케어포유 공동창업
- 당뇨질환, 신장질환, 염증질환 등 다수의 자동화 의료기기 상용화 및 사업화
성기훈 교수 연구팀
바이오/환경센서 (칩 ) 개발 및 연구
- 전기화학 바이오센서, 마이크로플루이딕 바이오칩 개발
- 자동화 의료진단기기 개발
- 환경오염물질 검출을 위한 고감도 환경센서 개발
유무기 나노자임 개발 및 연구
- 고감도 바이오 센싱기술을 위한 신호 증폭용 소재로의 응용에 관한 연구
- 항암, 항산화, 항염증 치료제로의 응용에 관한 연구
전기화학 마이크로플루이딕 바이오 칩 / 자동화 의료진단기기에 대한 연구

나노자임을 이용한 암세포 치료에 관한 연구

임동우 교수 연구팀

임동우
- 유무기 나노복합소재 기반 바이오센서 개발
- 생체재료공학 기반 약물전달, 재생의학, 의공학 응용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Sensors and Actuators B, Biomacromolecules 등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35편
- 아모레퍼시픽㈜ , 넥스세라㈜ 기업체 수탁과제 수행
- 기술이전실적 4천만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3억
- 순수민간과제 수주실적: 5천
- SCI 논문: 1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19건/25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4건/4건
임동우 교수 연구팀
나노 유무기 복합 재료 개발 및 연구
- 센서 나노 소재
- 바이오나노센서 (난치성 질환 조기 검출)
- 자극 반응성 고분자 재료 (환경 감응 소재)
생체 재료 개발 및 연구
- 생체 삽입형 나노 소재
- 나노메디슨, 재생의학
- 약물전달시스템 소재 및 응용
나노 유무기 복합 재료 개발 및 연구

생체 재료 개발 및 연구

채필석 교수 연구팀

채필석
- 형광분자를 통한 금속이온 및 바이오물질 센싱
- 양친매성 분자를 통한 막단백질 구조 센싱 Nat. Methods, Chem. J. Am. Chem. Soc. Chem. Sci. Acta Biomaterialia 등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80편
- 포스코 청암 신진연구자상, LG 연암상 수상
- 기술이전실적 3억2천만원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5억 3천
- SCI 논문: 20 편
- 대표논문: Chem. J. Am. Chem. Soc.
- 국내특허 출원/등록: 8건/10건
- 해외특허 출원/등록: 10건/14건
채필석 교수 연구팀
형광분자를 통한 물질 센싱
- AIE 특성 형광분자 개발 및 이를 통한 금속이온 및 폭약 센싱
- 마이셀 형성 형광분자를 통한 바이오물질 센싱
막단백질 구조 변환 센싱 양친매성 분자의 개발
- 막단백질 구조 안정화 시스템 개발
- 막단백질 구조 변화를 고감도로 센싱할 수 있슨 센싱 시스템 개발
차세대 형광분자 개발

차세대 막단백질 센서 개발

이승환 교수 연구팀

이승환
- 장기-온-어-칩 개발
- 바이오 프로브 기반 바이오 센서 개발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Small,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등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30 여편
- 원더바이오, 비티에스코리아, 휴온스, 다인바이오 등 기업체와 공동연구과제 수행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5억 5천
- SCI 논문: 15 편
- 국내특허 출원: 2건
이승환 교수 연구팀
바이오 프로브 기반 바이오 센서 개발 및 연구
- 환경 오염 모니터링용 바이오 프로브 개발
- 질병 진단용 바이오 프로브 개발 및 바이오 센서 연구
장기-온-어 칩 개발
- 인체 장기 모사를 위한 바이오 칩 설계 및 평가기술
- 약물에 의한 간독성 평가 및 간 대사 연구
장기-온-어 칩 개발

바이오 프로브 기반 바이오 센서 개발 및 연구

김도균 교수 연구팀

김도균
- 무기나노소재 기반 센싱플랫폼 개발
- 바이오마커 검출 및 정량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Nano, Advanced Materials 등 최근 3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20편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2억 3천
- SCI 논문: 20 편
- 국내특허 출원/등록: 3건/4건
김도균 교수 연구팀
무기 나노소재 바이오응용
- 무기 나노입자 합성
- 종양미세환경 감지 산화반응 촉진
자성 바이오센서 신호 유도물질
- 자성 나노입자 구조체 개발
- 바이오마커 검출용 고감도 센서 응용 및 표면제어 기술
자성 바이오센서 신호 유도물질

무기나노소재 바이오응용

이주헌 교수 연구팀

이주헌
- 나노구조체(나노입자, 나노선, 나노템플레이트) 및 바이오나노 융합 소재 개발,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바이오/화학/환경 센서
- 바이오 압전 소재 개발, 시스템 설계 및 평가
- Nature Protocols, ACS Nano, Nano Letters,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등 최근 10년 출판 해외저널 논문 24편
최근 3년간 실적
- 정부과제 수주실적: 책임: 5억 5천, 공동(수혜): 5억 5천
- SCI 논문: 10 편
- 국내특허 출원: 2건
이주헌 교수 연구팀
생체모방 바이오 나노 융합 시스템 설계
- 생체모방 시스템 개발 (바이오압전, 바이오/화학/환경 센서, Anti-fouling 계면)
-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 및 시스템 개발
환경 유해 물질 발색 센서, 인간 유해 바이러스 센서 시스템 설계
- 환경 유해 물질 발색 소재 및 센서 설계 및 평가기술
- 인산 유해 바이러스 센서 시스템 설계 및 평가기술
환경 유해 물질 발색 센서 시스템 설계

생체모방 바이오 나노 융합 시스템 설계

교수 연구팀

최근 3년간 실적
교수 연구팀


교수 연구팀

최근 3년간 실적
교수 연구팀


Hanyang Institute of
Environmental and Energy Technology
-
국책과제연구비
272억/년 -
순수 산업체 연구비
45억/년 (70여 기업) -
대학원생(총211명)
박사과정 27명
석박통합96명
석사과정 88명 -
SCI 논문
Science 등
280편/년
신규 6개 센터 중심 핵심기술발굴 및 우수연구집단 육성
-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연구센터 -
탄소중립 에너지 인프라
연구센터 -
퓨전 전기기술응용
연구센터 -
지속가능에너지기술
연구센터 -
첨단 열시스템
연구센터 -
환경바이오센서
연구센터
지속 가능한 학·연·산 기반 환경·에너지 분야 최고의 연구기관으로 육성
-
70여 산업체와의 기존 순수 산업체 공동연구 강화 및 150여 업체로 확대
-
안산 환경에너지센터/안산환경재단
-
한국생산기술연구원(2007년~현재; 2021년 HY-KITECH 대학원 공동학과 설립/확대 )
-
경기테크노파크/경기 환경에너지 진흥원
-
한국재료연구원(2016년~현재; 학연겸임교수/연구원 총 20여명, 향후 HY-KIMS 공동학과 설립)
-
한국전기연구원/술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 연구원 등